탄소 총량 시뮬레이션은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탄소흡수 및
저장량과 배출량 정보와 탄소배출 저감 방안을 제공합니다.
개발사업 탄소 총량 시뮬레이션은 3단계로 진행됩니다.
Shape 파일을 업로드하여 분석 대상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Shape 파일에 포함된 모든 면형 (Polygon) 지오메트리가 분석 대상지로 설정됩니다.
Shape 파일에는 분류 속성(cd : 비오톱 분류 / 건축물 용도)이 필수로 포함되어야 합니다.
분류 속성에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속성(cd) | 명칭 |
---|---|---|
흡수원 | HC3 | 시설경관녹지 |
흡수원 | HC4 | 공동주택단지녹지 |
흡수원 | HD1 | 소공원 |
흡수원 | HD2 | 어린이공원 |
흡수원 | HD3 | 근린 및 주제공원 |
건축물용도 | BDU001 | 단독주택 |
건축물용도 | BDU002 | 공동주택 |
건축물용도 | BDU003 | 제1종근린생활시설 |
건축물용도 | BDU004 | 제2종근린생활시설 |
건축물용도 | BDU005 | 문화및집회시설 |
건축물용도 | BDU006 | 종교시설 |
건축물용도 | BDU007 | 판매시설 |
건축물용도 | BDU008 | 운수시설 |
건축물용도 | BDU009 | 의료시설 |
건축물용도 | BDU010 | 교육연구시설 |
건축물용도 | BDU011 | 노유자시설 |
건축물용도 | BDU012 | 수련시설 |
건축물용도 | BDU013 | 운동시설 |
건축물용도 | BDU014 | 업무시설 |
건축물용도 | BDU015 | 숙박시설 |
건축물용도 | BDU016 | 위락시설 |
건축물용도 | BDU017 | 공장 |
건축물용도 | BDU018 | 창고시설 |
건축물용도 | BDU019 | 위험물저장및처리시< /td> |
건축물용도 | BDU020 | 자동차관련시설 |
건축물용도 | BDU021 | 동물및식물관련시설 |
건축물용도 | BDU022 | 자원순환관련시설 |
건축물용도 | BDU023 | 교정시설 |
건축물용도 | BDU024 | 방송통신시설 |
건축물용도 | BDU025 | 발전시설 |
건축물용도 | BDU026 | 묘지관련시설 |
건축물용도 | BDU027 | 관광휴게시설 |
건축물용도 | BDU028 | 장례시설 |
건축물용도 | BDU029 | 야영장시설 |
개발사업 등의 토지이용 변화 지역을 설정하세요.
주소/장소 검색으로 분석 대상지 위치로 이동하세요
위성영상
지적도
비오톱
건물
탄소 흡수/저장/배출 현황 화면을 PDF로 변환하여 제공합니다.
번호 | 분류명 | 면적(m²) | 연간 수목 탄소흡수량 (tCO₂eq) |
수목탄소저장량 (tCO₂eq) |
토양탄소저장량 (tCO₂eq) |
---|---|---|---|---|---|
번호 | 건축물용도 | 면적(m²) 연면적(m²) |
전력사용량(kWh) 전력배출량(tCO₂eq) |
가스사용량(MJ) 가스배출량(tCO₂eq) |
난방사용량(Mcal) 난방배출량(tCO₂eq) |
탄소배출량 (tCO₂eq) |
---|---|---|---|---|---|---|
선택한 분석 대상지역의 탄소 현황을 확인하세요
표에서 관심지역 선택 시 지도에 표시됩니다
번호 | 현재 토지이용 현황 | 면적(m2) | 연간 수목 탄소흡수량(tCO2eq) | 수목 탄소저장량(tCO2eq) | 토양 탄소저장량(tCO2eq) |
---|
번호 | 건축물용도 | 면적(m2) 연면적(m2) |
전력사용량(kWh) 전력배출량(tCO2eq) |
가스사용량(MJ) 가스배출량(tCO2eq) |
난방사용량(Mcal) 난방배출량(tCO2eq) |
탄소배출량(tCO2eq) |
---|
위성영상
지적도
비오톱
건물
수목 탄소흡수량은 위성영상에서 산출한 식생지수, 엽면적지수 등을
생물물리학적 추정 시스템(BESS) 모형의 통합 적용을 통해 산출되었습니다.
수목 탄소저장량은 항공 LiDAR를 활용한 수목 3차원 공간정보와
도시생태현황도 기반의 수종 분류 정보, 그리고 수종별 생장모델을
결합한 바이오매스 산정 기법을 통해 산출되었습니다.
토양 탄소저장량은 도시생태현황지도 유형을 고려하여
1,500개 지점을 대상으로 수행한 토양 실측 조사와
근적외선 분광 기반 토양 탄소 예측 모델을 통해 산출되었습니다.
탄소배출량은 경기도 항공 LiDAR 기반의 건물 공간정보에
건축물 등록대장과 2018년 부동산원 에너지 사용량을 연계하여,
건물 단위의 에너지 사용량 기반 탄소배출량으로 산정하였습니다.
대상지내 탄소 흡수/저장/배출량을 설정하여 분석하세요
선택 | 번호 | 탄소 흡수량 및 저장량 변화 설정 | 면적(m2) | 연간수목탄소흡수량(tCO2eq) | 수목탄소저장량(tCO2eq) | 토양탄소저장량(tCO2eq) | 지도 연결 |
삭제 |
---|
번호 | 건축물용도 | 면적(m2) | 층 수 | 연면적(m2) | 원단위 | 탄소배출량(tCO2eq) | 지도 연결 |
삭제 |
---|
위성영상
지적도
비오톱
건물
신규로 개발되는 건물의 탄소배출량은 한국부동산원이 제공한
‘2018년 건물에너지사용량 통계’를 바탕으로, 경기도 31개 시군의
29개 건물용도별 단위면적당 탄소배출계수를 적용하여 산정됩니다.
신규 공원과 녹지의 탄소흡수량과 저장량은 유형별로
경기도 평균 단위면적당 값을 기준으로 산정되었습니다.
대상지내 탄소 흡수/저장/배출량 변화량 설정 결과를 확인하세요.
항목 | 배출량 (tCO2eq) |
---|---|
개발전 배출량 | |
감축목표 배출량 | |
감축목표 (개발전 대비 40%) | |
개발 후 총 배출량 | |
저감 배출량 | |
개발 후 배출량 |
개발 전 탄소배출량은 2018년 건물 에너지 사용량을
기반으로 산정되었으며, 감축목표는 2018년 대비 40%입니다.
이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2050 탄소중립 전략」 등
국가 정책에서 기준연도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며, 40% 감축률은
2030년까지 국가가 달성하고자 하는 공식 온실가스 감축 목표입니다.
개발 후 탄소배출량은 재생에너지 도입 등 다양한 저감방안을 적용해
시뮬레이션 할 수 있으며, 각 저감방안의 배출량 저감 계수는 2024년
「환경부 지자체 온실가스 감축사업별 감축원단위 적용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산정됩니다.
대상지내 신재생에너지 도입을 통해 탄소배출량 저감을 분석하세요
번호 | 감축사업명 | 모니터링인자명 | 용량(kW) / 면적(m2) |
단위 | 저감 배출량(tCO2eq) | 삭제 |
---|
탄소 총량 분석 결과 화면을 PDF로 변환하여 제공합니다.
항목 | 값 |
---|---|
개발 전 흡수/저장량(tCO2eq) | 2000 |
개발 후 흡수/저장량(tCO2eq) | 1000 |
개발 전/후 저장량 차이(tCO2eq) | 1000 |
항목 | 값 |
---|---|
미래 배출량(tCO2eq) | |
저감 배출량(tCO2eq) | |
개발 후 배출량(tCO2eq) |
번호 | 분류명 | 면적(m²) | 연간 수목 탄소흡수량 (tCO₂eq) |
수목 탄소저장량 (tCO₂eq) |
토양 탄소저장량 (tCO₂eq) |
---|---|---|---|---|---|
번호 | 건축물용도 | 면적(m²) 연면적(m²) |
전력사용량(kWh) 전력배출량(tCO₂eq) |
가스사용량(MJ) 가스배출량(tCO₂eq) |
난방사용량(Mcal) 난방배출량(tCO₂eq) |
탄소배출량(tCO₂eq) |
---|---|---|---|---|---|---|
번호 | 분류명 | 면적(m²) | 연간 수목 탄소흡수량 (tCO₂eq) |
수목탄소저장량 (tCO₂eq) |
토양탄소저장량 (tCO₂eq) |
---|---|---|---|---|---|
번호 | 건축물용도 | 면적(m²) | 층 수 | 연면적(m²) | 원단위 | 탄소배출량(tCO₂eq) |
---|---|---|---|---|---|---|
번호 | 감축사업명 | 모니터링인자명 | 용량(kW) / 면적(m²) |
단위 | 저감 배출량(tCO₂eq)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