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사업 탄소 총량 시뮬레이션
서비스 안내

탄소 총량 시뮬레이션은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탄소흡수 및
저장량과 배출량 정보와 탄소배출 저감 방안을 제공합니다.

개발사업 탄소 총량 시뮬레이션은 3단계로 진행됩니다.

1. 분석 대상지 설정

필지 기반 대상지 설정
사용자 직접 설정

2. 탄소 현황 분석

비오톱 기반 탄소흡수 및 저장량 분석
건물 에너지 사용량 기반 탄소 배출량 분석

3. 탄소 저감 방안 설정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시설 도입 시뮬레이션

Step 1. 분석 대상지 설정

개발사업 등의 토지이용 변화 지역을 설정하세요.

주소/장소 검색으로 분석 대상지 위치로 이동하세요

분석 대상지 면적
m2

위성영상

지적도

비오톱

건물

분석 대상지

Step 2. 탄소 흡수/저장/배출 현황

선택한 분석 대상지역의 탄소 현황을 확인하세요

표에서 관심지역 선택 시 지도에 표시됩니다

탄소 흡수/저장 현황

연간 수목
탄소흡수량
(tCO2eq)
수목
탄소저장량
(tCO2eq)
토양
탄소저장량
(tCO2eq)
번호 현재 토지이용 현황 면적(m2) 연간 수목 탄소흡수량(tCO2eq) 수목 탄소저장량(tCO2eq) 토양 탄소저장량(tCO2eq)

탄소 배출 현황

건물이 대상지내 조금이라도 포함되면 배출량이 산정되며 2018년 부동산 데이터를 사용하여 배출량이 산정됩니다.
탄소
배출량
(tCO2eq)
번호 건축물용도 면적(m2)
연면적(m2)
전력사용량(kWh)
전력배출량(tCO2eq)
가스사용량(MJ)
가스배출량(tCO2eq)
난방사용량(Mcal)
난방배출량(tCO2eq)
탄소배출량(tCO2eq)

위성영상

지적도

비오톱

건물

분석 대상지
탄소흡수원
건물

Step 3. 탄소 증감 시뮬레이션

대상지내 탄소 흡수/저장/배출량을 설정하여 분석하세요

대상지 탄소흡수/저장 현황

연간 수목
탄소흡수량
(tCO2eq)
수목
탄소저장량
(tCO2eq)
토양
탄소저장량
(tCO2eq)
탄소흡수원 및 저장원의 변화를 선택하세요.
선택 항목 :
선택 번호 탄소 흡수량 및 저장량 변화 설정 면적(m2) 연간수목탄소흡수량(tCO2eq) 수목탄소저장량(tCO2eq) 토양탄소저장량(tCO2eq) 지도
연결
삭제

탄소 배출량 변화 설정

면적
(m2)
/ m2
탄소
배출량
(tCO2eq)
번호 건축물용도 면적(m2) 층 수 연면적(m2) 원단위 탄소배출량(tCO2eq) 지도
연결
삭제

위성영상

지적도

비오톱

건물

분석 대상지
탄소흡수원
건물

Step 4. 토지이용 변화 시뮬레이션 결과

대상지내 탄소 흡수/저장/배출량 변화량 설정 결과를 확인하세요.

탄소 흡수/저장 현황
탄소 배출 현황

탄소 배출 현황

항목 배출량 (tCO2eq)
개발전 배출량
감축목표 배출량
감축목표 (개발전 대비 40%)
개발 후 총 배출량
저감 배출량
개발 후 배출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