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역 비오톱 유형해설 Ver 1.0 다운로드
| 분야 | 활용내용 |
|---|---|
| 환경생태분야 |
ㆍ 생태·자연도 갱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ㆍ 비오톱 평가 및 우수비오톱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한 법적 보호지역의 지정 및 관리 ㆍ 대표비오톱 및 우수비오톱, 야생동물주제도를 바탕으로 도시별 생물상 목록 도출 및 생물 다양성 평가 기초자료로 활용 ㆍ 생태네트워크 구축 및 우수비오톱 네트워크 구축 ㆍ 전략환경영향평가 자연생태계 분야 기초자료로 활용 ㆍ 국토교통부의 도시개발 및 정비사업에 대응 협의하는 기초공간자료로 활용 ㆍ 시·군·구 환경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 ㆍ 생태축 단절지역, 자연생태계 훼손지역의 연결성 확보 및 복원 시 참고자료로 활용 |
| 도시관리분야 |
ㆍ 점·비점오염원관리 기초자료로 활용 ㆍ 엔트로피 저감 관리자료로 활용 ㆍ 생태면적률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 ㆍ 개발행위 허가제도 기초자료로 활용 ㆍ 자연재해 방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ㆍ 비오톱 속성정보를 활용한 탄소공간지도 작성으로 탄소중립 계획 수립 등에 활용 |
| 도시계획분야 |
ㆍ 도시·군 관리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 ㆍ 도시기본계획에서 토지의 생태적 가치를 고려한 도시공간구조 및 시가화 예정용지를 지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ㆍ 도시관리계획에서 비오톱 등급 보전가치를 고려한 합리적인 용도지역지구를 지정하기 위 한 기초자료로 활용 ㆍ 지구단위계획의 개발계획시 개발가능 적지 판단 및 환경친화적인 토지이용 계획수립 기초 자료로 활용 ㆍ 토지적성평가시 자연보전 및 지역특성 평가 기초자료로 활용 ㆍ 도시개발사업의 환경생태계획 및 환경친화적 도시관리 정책 제시 ㆍ 도시 생태다양성 지수(City Biodiversity Index) 등 도시의 건강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평가 방법의 항목 및 지표와 연계하여 도시의 생태적 기능 및 건강성 평가 ㆍ 기타 정책적으로 사용되는 지표에 따라 지자체별 생태적 보전 및 관리 수준의 비교평가를 할 수 있는 평가 기초자료로 활용 |
| 공원녹지분야 |
ㆍ 공원녹지기본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 ㆍ 공원 및 녹지 지정을 위한 대상지 선정 기초자료로 활용 ㆍ 생태복지를 위한 적정 대상지 선정 기초자료로 활용 ㆍ 도시녹화 대상지 선정 기초자료로 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