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오톱 주제도
  • 비오톱 유형도 이미지

    비오톱 유형도

    비오톱 유형도는 특정 지역의 자연환경을 구성하는 생물 서식지(Biotope)의 공간적 분포와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제작된 지도이다. 이는 도시 및 비도시 지역 내 다양한 비오톱을 그 생태적 가치 및 자연성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하고, 이를 지도 상에 시각적으로 표현한 공간정보 자료이다.

  • 비오톱 유형 평가도 이미지

    비오톱 유형 평가도

    비오톱 유형 평가도는 특정 지역 내 다양한 비오톱(Biotope) 유형에 대해 자연성, 생태적 기능, 생물다양성 기여도, 환경적 안정성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생태적 가치를 평가한 결과를 공간적으로 표현한 지도이다. 이는 비오톱 유형도에 기반하여 작성되며, 각 비오톱 유형에 대한 생태적 중요도 또는 보전가치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25년 12월 공개)

  • 개별 비오톱 평가도

    개별 비오톱 평가도

    개별 비오톱 평가도는 특정 비오톱 단위(개별 필지 또는 공간 단위)를 대상으로, 해당 공간의 생태적 가치를 정밀하게 평가한 결과를 지도 형태로 표현한 것이다. 이는 전 지역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일반화한 비오톱 유형 평가도와 달리, 각 비오톱 공간의 특성과 기능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평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 현존식생도 이미지

    현존식생도

    현존식생도는 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 실제로 존재하고 있는 식생(초본류, 관목류, 교목류 등)의 분포 상태를 정밀하게 조사·기록하여 지도 형태로 표현한 자료이다. 이는 토지 이용 현황과 생태계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식생 변화 예측이나 자연환경 보전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 토지이용·토지피복현황도 이미지

    토지이용·토지피복현황도

    토지이용·토지피복현황도는 특정 지역의 지표면이 현재 어떻게 이용되고 있으며, 어떠한 형태로 덮여 있는지를 공간적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주제도이다. 이는 국토의 공간 계획, 환경영향평가, 생태계 변화 분석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 투수불투수 현황도 이미지

    투수불투수 현황도

    투수불투수 현황도는 특정 지역의 지표면이 물을 투과시킬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투수면(Permeable surface)과 불투수면(Impermeable surface)으로 구분하여 공간적으로 표현한 주제도이다. 이 지도는 도시 홍수 예방, 도시열섬 완화, 물순환 개선, 환경영향평가 등 다양한 환경·도시계획 분야에서 활용된다.

  • 지형주제도 이미지

    지형주제도

    지형주제도는 특정 지역의 자연 지형 요소를 중심으로 공간 정보를 시각화한 주제도이다. 주로 고도(해발고도), 경사, 사면방향(방위)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자연환경 분석, 재해예방, 토지이용계획, 생태환경 평가 등 다양한 공간계획 및 환경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