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는 기후행동 기회소득, 기후보험, 기후테크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기후대응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과학적 기후데이터 확보를 위한 첫걸음!
< 기후위성 이벤트 >
< 경기기후위성 >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적응에 기여하는 혁신기술과
이를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응용기술
과학적 기후위기 대응 및 RE100 이행을 위한 실측 기반의
기후·환경·에너지 종합 데이터 플랫폼으로
’25. 7월중 서비스 제공 예정(현재, 중소기업 기후경영
서비스 선오픈 운영중)
구분 | 주요내용 |
---|---|
액셀러레이팅 |
· 수익창출방식(비즈니스모델) 진단·분석 · 투자사, 대·중견기업 투자유치 피칭기회 제공 · ESG, 벤처/이노비즈 등 각종 인증 획득 지원 · 지식재산권 기술가치 평가 및 투자보고서 작성 지원 · 대·중견기업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사업화 연계 지원 · 글로벌 전시회(CES 등) 및 챌린지 참가 지원 · 온라인 마케팅 및 홍보 지원 · 최종 성과공유회를 통한 투자유치 기회 제공 · 기후테크 스타트업 육성 미선정 우수기업 대상 맞춤형 멘토링 |
사업화 자금지원 |
· 기술인력 채용 인건비 및 기술개발비 지원 · 시제품 설계 및 재료비 지원 · 특허출원 관련 경비 지원 |
푸른 하늘을 향한 우리의 질주
(UNEP 공통주제) Racing for Air (道 부제) 숨쉬는 미래, 푸른 하늘을 위한 글로컬 연대
UN 공식 지정한 ‘푸른 하늘의 날(9.7.)*’ 기념하여 ‘2025 청정대기
국제포럼’ 개최
* 대한민국이 제안 지정된 첫 UN 공식기념일(’19년 9월 UN 기후행동정상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 채택)
일자 | 시간 | 주요내용 |
---|---|---|
9. 2.(화) | 개회식 (14:00~15:30) |
개회사, 환영사, 축사, 기조강연, 개막대화* - 기조강연(최재천 교수) : 기후위기 시대 전환을 통한 공존의 지혜 * 주제 : 미래세대가 묻고 기성세대가 답하다 |
국제포럼 Ⅰ (15:30~16:40) |
Forum SessionⅠ (기후위기 해법, 대기관리 글로벌 공동협력 모색) |
|
국제포럼 Ⅱ (16:40~18:00) |
Forum SessionⅡ (동아시아 주요국 대기질 개선경험과 정책 공유) |
|
9. 3.(수) | 특별세션 (10:30~12:00) |
기업-공공기관 특별세션 (대기오염물질(오존 등) 감축관리 강화) |
(12:00~13:00) | 중식 | |
(13:00~13:30) |
표창 대상자 사전 리허설 (대기환경 개선 평가 우수 시·군, 기관 민간인 등) |
|
문화공연/특별강연 (13:30~14:30) |
문화공연 (라클라쎄 : 경기아트센터) 특별강연 (윤세종 플랜1.5대표 : 기후변화,민주주의 등) |
|
유공 표창 (14:30~15:20) |
대기환경 개선 평가 우수 시·군, 기관 등 민간인 등 표창 | |
폐회식 (15:20~15:30) |
폐회선언, 폐회사 등 | |
미세먼지 공동 대응 실천 공모전 수상작 발표 및 토론 | ||
미세먼지 사진전 (9.2~9.3) | (한기애 작가) 일상속 미세먼지를 시각화 하여 기후 문제를 사진을 통해 표현 |
구분 | 지원대상 | 세부내용 |
---|---|---|
일반지원 | 태양광 기업 (100억원) |
· 태양광 설치(예정)·제조·관리 기업 |
에너지 효율화 기업 (637억원) |
·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설치·제조·관리 기업 · 에너지진단 인증·신재생에너지설비 KS인증 기업 |
|
일회용품 대체재 제조기업 (30억원) |
· 종이빨대 제조·다회용기 제조 및 서비스 기업 | |
기후테크 육성기업 (30억원) |
· 기후테크·유망 기후테크 지정 기업 · 기후테크 분야 경기도 공모·대회 선정기업 |
|
특별지원 |
경기RE100 적극 참여기업 (80억원) |
· 경기RE100 산업단지 참여기업 등 ·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신규 설치 예정 기업 |
이자율 상향(3%), 보증기간 연장(8년), 보증한도 상향(8억원)
- (쇼케이스) 기후테크 기술 발표·설명회, 해외 유니콘기업 강연, 공연 등
- (기후테크 경진대회) 전국단위 기후테크 기술·정책 및 창업 경진대회
※ 대회 시상금 : 총상금 7천만원(기술정책 6천만원, 창업 1천만원)
- (투자유치) 기후테크 스타트업 투자를 위한 IR 피칭데이 진행
- (녹색일자리 박람회) 기후테크 분야 신규·전환 녹색일자리 홍보월
- (체험프로그램) 「봉공이의 하루 체험」으로 기후테크 기술 경험
- (기후테크 전시회) 기후테크 스타트업 1기 우수제품 및 기술 전시
- (기후테크 세미나) 기후테크 세미나 개최(2차, 글로벌 투자주제)
< 상반기 기후테크 전시회 사진1 >
< 상반기 기후테크 전시회 사진2 >
전용 앱(App) “루카”를 통해 나만의 생물종 기록 아카이브 구축
< 생물다양성탐사(생태공원) >
< 생물다양성탐사(학교) >
< 생물종 기록 활동(학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