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31개 시군의 에너지 수요, 공급, 재생에너지, 복지 현황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된 시각자료입니다.
에너지 정책 수립, 탄소중립 전략, 지역 맞춤형 사업 기획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전국 소비량의 13.7%
32145
ktoe17개 시도 중 10번째로 높음
2.37
toe/인전국 증가율: 0.98%
0.73
%전국 증가율: 1.62%
3.43
%17개 시도 중 13번째로 높음
0.061
toe/백만원전국 증가율: -1.34%
-2.49
%
경기도는 인구가 많은 지역인 만큼, 에너지 소비의 38%가 건물 부문에서 발생하며, 산업과 수송 부문은 각각 31%를 차지합니다.
에너지원별로는 전력이
38%로 가장 많고, 석유 36%, 가스 17%, 나머지 9%는 열, 신재생, 석탄 등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부문별 및 에너지원별 모든 측면에서, 남부 지역의 에너지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납니다. 이는 남부지역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고,
경제규모 또한 북부 지역에 비해 크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tonne of oil equivalent의 약자로 석유 1톤을 태웠을 때 나오는 에너지량을 의미합니다.
칼로리(cal), 줄(J), 와트시(Wh) 등 다양한 단위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2022년 기준, 경기도는 국가 최종에너지 소비의 13.7%를 차지하며, 전국 17개 시도 중 세 번째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지역입니다.
인구 규모를 고려하면, 경기도의 1인당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2.37 toe로, 전국 시도 중 10위에 해당합니다.
경제 규모를 반영한 GRDP당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0.062 toe/백만원으로, 전국 13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전국 발전량의 14.4%
85780
GWh전국 소비량의 37.6%
140531
GWh17개 시도 중 12번째로 높음
61
%LNG 92.2%, 석탄 2.0%
5.2
%2021년 대비 2022년 증가율: 11.31%
13.6
%
아래 생키 다이어그램은 일반적인 국가 에너지시스템과는 달리, 공간으로는 ‘경기도’와 ‘경기도 외’ 지역으로, 부문으로는 ‘전력 전환 부문’과 ‘전력 소비
부문’으로 나누어 표현하였습니다.
이 시각화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1. 경기도는 어떤 에너지원에 의존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있는가?
2. 경기도의 발전량은 국가 전체 발전량 중 얼마나 기여하는가?
3. 국내 전체 발전량 중 경기도가 소비하는 전력은 얼마나 되는가?
4. 경기도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주로 어떤 부문에 사용되고 있는가?
5. 경기도와 경기도 외 지역 간 전력 수급 및 소비 구조는 어떻게 다른가?
이와 같은 구조는 복잡한 에너지 흐름을 지역 간 전력의 공급·수요의 관계 중심으로 단순화하여, 국가 내에서 경기도의 전력수급 현황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평택, 파주, 포천, 동두천 지역의 발전량이 두드러집니다. 앞서 언급한 네 시군 중 세개의 시군이 북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해당 지역들에는 가스 발전소가 위치해있습니다.
전력 자립도
87 %
전력 발전량
GWh
2022년 기준, 경기도는 국내 전체 발전량의 14.4%를 차지하며, 전국 17개 시도 중 세 번째로 많은 발전량을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가스발전량의 48.3%가 경기도가 차지하고 있을만큼, 타 지역에 비해 가스발전량이 많습니다.
2022년 기준, 경기도의 전력자급률은 61.04%로, 다른 시도에 비교적 낮은 편 입니다.
* 전력자급률 (%) = 100 * (전력 발전량 / 전력 소비량)
5672
GWh4046
GWh140312
GWh(신재생에너지 발전량/전력 소비량)*100
4.0
%(재생에너지 발전량/전력 소비량)*100
2.9
%
신재생에너지 자립률은 전력소비 대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의미합니다.
전국 시도별 신재생 발전량과 전력 소비량을 통해 신재생자립률을 계산하여 보여줍니다.
* 신재생자립률 (%) = 100 * (신재생발전량 / 전력소비량)
2023년
0
가구경기도 전체 가구수: 5,722,843 가구
0
%2023년
0
만원2022년 대비
0
%경기도 에너지 바우처 발급 현황
에너지바우처 제도는 한국에너지공단이 운영하는 에너지 복지 제도입니다. 국민모두가 시원한 여름과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저소득 가구 중
에너지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계층에 에너지바우처(이용권)를 지급하여,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유, LPG, 연탄을 구입할 수 있게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여름철 에너지바우처는 '요금차감'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원만 신청할 수 있으며, 겨울철 에너지바우처는 '요금차감'과 '국민행복카드' 방식을 선택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