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현황

경기도의 에너지 수요와 공급, 재생에너지,
에너지복지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경기도 31개 시군의 에너지 수요, 공급, 재생에너지, 복지 현황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된 시각자료입니다.
에너지 정책 수립, 탄소중립 전략, 지역 맞춤형 사업 기획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 소비

경기도 최종 에너지 소비량(2022년)

전국 소비량의 13.7%

32145

ktoe

1인당 에너지 소비량 (2022년)

17개 시도 중 10번째로 높음

2.37

toe/인

1인당 에너지 소비 증가율
(2012~2022 연평균)

전국 증가율: 0.98%

0.73

%

경기도 전력소비 증가율 (2022년)
(2012~2022 연평균)

전국 증가율: 1.62%

3.43

%

GRDP당 에너지 소비량 (2022년)

17개 시도 중 13번째로 높음

0.061

toe/백만원

GRDP당 에너지 소비 증가율
(2012~2022 연평균)

전국 증가율: -1.34%

-2.49

%

데이터출처: 에너지경제연구원, “지역에너지통계연보“, “시군구 수급에너지 통계“
                       통계청, “행정구역(시군구)별, 성별 인구수”, “GRDP(시/군/구)”

경기도 부문별, 에너지원별 에너지 소비 현황

경기도는 인구가 많은 지역인 만큼, 에너지 소비의 38%가 건물 부문에서 발생하며, 산업과 수송 부문은 각각 31%를 차지합니다.
에너지원별로는 전력이 38%로 가장 많고, 석유 36%, 가스 17%, 나머지 9%는 열, 신재생, 석탄 등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전체 에너지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
단위: ktoe

경기도 부문별, 에너지원별 에너지 소비 추이

단위: ktoe

경기도 전체 시군 에너지 소비 현황

부문별 및 에너지원별 모든 측면에서, 남부 지역의 에너지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납니다. 이는 남부지역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고,
경제규모 또한 북부 지역에 비해 크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경기도
단위: ktoe

선택할 수 있는 데이터

    경기도 개별 시군 에너지 소비 현황 및 추이

    경기도

    소비현황

    • 1인당 최종에너지소비 (2022)
    • 1인당 전력소비량 (2022)
    • 1인당 가정 부문 전력소비량 (2022)
    • GRDP당 최종에너지 소비량 (2021)

    부문별 에너지 사용량

    단위: ktoe

    에너지원별 에너지 사용량

    단위: ktoe

    경기도 에너지 소비 현황(전국 대비)

    2022년 기준, 경기도는 국가 최종에너지 소비의 13.7%를 차지하며, 전국 17개 시도 중 세 번째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지역입니다.
    인구 규모를 고려하면, 경기도의 1인당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2.37 toe로, 전국 시도 중 10위에 해당합니다.
    경제 규모를 반영한 GRDP당 최종에너지 소비량은 0.062 toe/백만원으로, 전국 13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국가 전체 에너지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
    단위: ktoe

    1인당 에너지 소비

    GRDP* 최종에너지소비

    경기도 에너지 소비 추이 (전국 대비)

    전력 공급

    경기도 전력 발전량 (2022년)

    전국 발전량의 14.4%

    85780

    GWh

    경기도 전력 소비량 (2022년)

    전국 소비량의 37.6%

    140531

    GWh

    경기도 전력자급률 (2022년)

    17개 시도 중 12번째로 높음

    61

    %

    경기도 신재생에너지 비중 (2022년)

    LNG 92.2%, 석탄 2.0%

    5.2

    %

    경기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율 (2014~2022 연평균)

    2021년 대비 2022년 증가율: 11.31%

    13.6

    %

    데이터출처: 에너지경제연구원, “지역에너지통계연보“, “시군구 수급에너지 통계“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통계”,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전력수급

    아래 생키 다이어그램은 일반적인 국가 에너지시스템과는 달리, 공간으로는 ‘경기도’와 ‘경기도 외’ 지역으로, 부문으로는 ‘전력 전환 부문’과 ‘전력 소비 부문’으로 나누어 표현하였습니다.
    이 시각화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1. 경기도는 어떤 에너지원에 의존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있는가?
    2. 경기도의 발전량은 국가 전체 발전량 중 얼마나 기여하는가?
    3. 국내 전체 발전량 중 경기도가 소비하는 전력은 얼마나 되는가?
    4. 경기도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주로 어떤 부문에 사용되고 있는가?
    5. 경기도와 경기도 외 지역 간 전력 수급 및 소비 구조는 어떻게 다른가?
    이와 같은 구조는 복잡한 에너지 흐름을 지역 간 전력의 공급·수요의 관계 중심으로 단순화하여, 국가 내에서 경기도의 전력수급 현황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경기도 전체 시군 전력 발전 설비 현황

    평택, 파주, 포천, 동두천 지역의 발전량이 두드러집니다. 앞서 언급한 네 시군 중 세개의 시군이 북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해당 지역들에는 가스 발전소가 위치해있습니다.

    경기도
    단위: GWh

    선택할 수 있는 데이터

      경기도 개별 시군 발전 현황 및 추이

      경기도 수원시

      전력 발전현황

      전력 자립도

      87 %

      발전량 10.1 GWh
      소비량 10.1 GWh

      전력 발전량

      GWh

      석탄 13,396.7 87.6%
      가스 1,219.6 8.0%
      유류 0.0 0.0%
      양수 415.6 2.7%
      신재생 250.9 1.6%
      기타 0.5 0.01%

      전력발전량

      단위: GWh

      경기도 전력믹스 추이

      경기도 전력 발전 현황 (전국 대비)

      2022년 기준, 경기도는 국내 전체 발전량의 14.4%를 차지하며, 전국 17개 시도 중 세 번째로 많은 발전량을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가스발전량의 48.3%가 경기도가 차지하고 있을만큼, 타 지역에 비해 가스발전량이 많습니다.

      단위: GWh
      국가 전체 발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

      경기도 전력 발전과 소비 현황 (전국 대비)

      2022년 기준, 경기도의 전력자급률은 61.04%로, 다른 시도에 비교적 낮은 편 입니다.
      * 전력자급률 (%) = 100 * (전력 발전량 / 전력 소비량)

      경기도 전력 발전 추이 (전국 대비)

      신재생에너지 공급

      경기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2023)

      5672

      GWh

      경기도 재생에너지 발전량 (2023)

      4046

      GWh

      경기도 전력 소비량 (2023)

      140312

      GWh

      경기도 신재생에너지 자립률 (2023)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전력 소비량)*100

      4.0

      %

      경기도 재생에너지 자립률

      (재생에너지 발전량/전력 소비량)*100

      2.9

      %

      데이터출처: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통계”,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경기도 신재생에너지 전력믹스 추이

      * IGCC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는 석탄가스화 복합화력발전의 약자입니다.
      석탄을 고온·고압에서 가스화시켜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기술입니다.

      경기도 전체 시군 신재생 발전 현황

      경기도
      단위: GWh

      선택할 수 있는 데이터

        경기도 전체 시군 전력소비 대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표로 보는

        신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 데이터 (MWh)

        경기도 신재생에너지 발전 현황 (전국 대비)

        단위: GWh
        국가 전체 신재생에너지 발전에서 차지하는 비중

        경기도 신재생 발전과 전력소비 현황 (전국 대비)

        신재생에너지 자립률은 전력소비 대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의미합니다.
        전국 시도별 신재생 발전량과 전력 소비량을 통해 신재생자립률을 계산하여 보여줍니다.
        * 신재생자립률 (%) = 100 * (신재생발전량 / 전력소비량)

        기간 선택

        경기도 신재생 발전 추이 (전국 대비)

        에너지 바우처 발급 현황 (2023)

        바우처 발급가구

        2023년

        0

        가구

        바우처 발급가구 비율 (2023년)

        경기도 전체 가구수: 5,722,843 가구

        0

        %

        가구당 평균 바우처 발급액

        2023년

        0

        만원

        바우처 발급가구 증가율

        2022년 대비

        0

        %

        데이터출처: 한국에너지공단, "에너지 바우처 발급 현황"

        경기도 에너지 바우처 발급 현황

        에너지바우처 제도는 한국에너지공단이 운영하는 에너지 복지 제도입니다. 국민모두가 시원한 여름과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도록 저소득 가구 중
        에너지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계층에 에너지바우처(이용권)를 지급하여,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유, LPG, 연탄을 구입할 수 있게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여름철 에너지바우처는 '요금차감' 방식으로 전기 에너지원만 신청할 수 있으며, 겨울철 에너지바우처는 '요금차감'과 '국민행복카드' 방식을 선택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카드그래프로 보는

        에너지 바우처 발급 현황

        경기도

        에너지 바우처 발급 현황

        선택할 수 있는 데이터

          에너지바우처 발급 현황은 읍면동 단위로 제공됩니다.(2024년 6월30일 기준)
          다만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습니다.
          ● 읍면동 명칭 및 관할 구역이 매년 변경되어, 연도별 데이터 간 일치가 어려움
          ● 일부 행정동은 분할·통합 등으로 인해 동일 시점 기준 비교가 불가능
          ● 원천자료에 행정구역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