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양광은 재생에너지 중 가장 쉽게 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설비를 설치한다고 해서 높은 효율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설치할 위치의 태양광 잠재량과 지형의 음영 등을 고려한 적지를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태양광 도입 서비스는 경기도 전역의 태양광 잠재량 정보와 설비
현황을 제공합니다. 또한 건물 또는 지형의 태양광 설비를 설치할
때 최적의 적지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용량
0
GW용량
0
GW용량
0
GW발전량
0
GWh발전량
0
GWh발전량
0
GWh이론적 잠재량
경기도 전 지역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를 기반으로 산정한, 최대 활용 가능 에너지양입니다.
일사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하며, 기술적·지리적·정책적·경제적 제약은 전혀 고려하지 않습니다.
태양광 잠재량을 평가하는 기초 단계에 해당합니다.
기술적 잠재량
이론 잠재량을 바탕으로, 태양광 모듈의 효율, 설치 가능한 면적, 지형 조건 등
기술적·지리적 제약을 반영하여 산정한, 기술적으로 활용 가능한 에너지양입니다.
이론 잠재량에 비해 현실성을 갖춘 수치로, 기술적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시장 잠재량
기술 잠재량을 바탕으로, 정책적·경제적 제약까지 추가로 반영하여 산정한,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에너지양입니다.
규제 정책으로 인해 설치가 불가능한 지역을 제외하고, 발전원가, 판매 단가 등을
바탕으로 경제성을 평가한 결과이며, 투자자나 사업자 입장에서 현실적인 기준을 제공합니다.
전체
11344835
m²전체
2557
MW전체
3360327
MWh건물형
4097866
m²건물형
918
MW건물형
1206026
MWh지상형
7246969
m²지상형
1639
MW지상형
2154301
MWh
AI 기술로 경기도 전역의
태양광 설비 현황정보를 제공
태양광 설비현황 정보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2023년 촬영한 항공사진으로 제작한 영상지도(해상도 25cm)를 이용하여 접경지역을 제외한 경기도 전역의 태양광 설비 현황을 조사하였습니다.
태양광 설비 현황은 AI 영상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건물옥상, 산업단지, 단독주택, 상가건물, 주차장 등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을 정확하게
탐지하였습니다.
태양광 설비현황 정보는 건물내 설치된 현황과 그 외 지상에 설치된 설비로 구분하여 정보를 제공합니다.
건물내 설치현황의 경우 개인주택, 공동주택, 산업단지, 물류창고, 공공시설물 등으로 분류하였으며, 건물 외 설치의 경우 농지, 산지, 수면 등으로 구분하여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분류하여 제공합니다.
태양광 설비 설치 신청 또는 등록은 하였으나, 2023년 국토지리정보원 영상지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태양광 설치 예정지로 구분하였습니다.
따라서, 실제 태양광 설비는 설치되었으나, 항공사진 촬영시기인
2023년 이후에 설치된 태양광 설비는 설치 예정지로 현황정보가 제공됩니다.
태양광 도입분석 시뮬레이션이란?
경기도 접경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건물 옥상과 지면에
태양광 설치 적지와 발전량, 예상수익 등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건물 또는 지형의 주변 환경 고층건물, 산악지형 등을 고려한 정밀
음영정보를 활용하여 태양광 설비위치와 면적을 정확하게 산출합니다.
최적의 적지위치와 패널 개수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패널 개수를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태양광 최적의 패널 수 선정 및 변화에 따라 설치비용과 예상 발전량을 기반으로
편익분석을 제공합니다. 또한, 태양광 발전소 설치를 위한 각종 규제정보를 지도를
통해 동시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태양광 도입분석 시뮬레이션은 경기도에서 취득한 항공라이다 고정밀 데이터와 기상청의 일사량 데이터, 부동산원의 에너지데이터 등을 활용하였습니다. 이러한 기초자료를 활용하여 esri사의 일사량분석 솔루션을 적용하여 건축물옥상과 지형필지의 음영데이터를 제작하였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태양광 도입을 위한 설치분석 시뮬레이션을 구현하였습니다.
경기도에서 촬영한 항공라이다 성과를 이용하여 0.5m 격자 초고정밀 DSM과 DEM을 제작하였습니다. 이러한 고정밀 데이터는 현실의 지형과 시설을 정확하게 구현함으로써 건축물, 시설, 지형으로 인한 음영환경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접경지역을 제외한 경기도 전역의 156만여동의 건물을 대상으로 건물 또는 지형의 주변 환경 고층건물, 산악지형 등을 고려한 0.5m 격자의 정밀한 DSM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단독주택, 아파트, 산업단지 건물, 공공시설 등 모든 건축 유형을 포함하여 건물 옥상에 대한 일조 및 음영 환경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를 구축하였습니다.
건물옥상의 경우 위치 주변 건물 또는 지형에 따라 일사량의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좁은 지역에 최대한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기 위해 고정밀의 음영데이터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지형필지의 경우 DSM 정보를 활용할 경우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시 반영하지 않는 가로수 등과 같은 시설의 영향으로 정확한 시뮬레이션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지형필지를 대상으로 한 태양광 도입분석을 위해 DEM과 건축물 3차원 모델을 융합한 건축물DEM을 구축하여 음영데이터를 구축하였습니다.
정밀한 DSM과 건물DEM을 기반으로 esri사의 ArcGIS Solar Radiation Tool 을 적용하여, 건축물 옥상과 지형필지에 대한 음영데이터를
구축하였습니다.
음영데이터는 연간 일사정보를 활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고정밀의 항공라이다 기반의 DSM과 건물DEM을 통해 제작된 음영데이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태양광 패널 설치적지를 자동으로 분석합니다. 최신의 태양광 패널 모듈과 태양광 패널 설치각을 사용자가 선택하게 하였고 그 결과를 최적의 적지를 우선적으로 표출하여 제공합니다. 사용자가 패널 수를 늘리고 줄일 수 있도록 하여 패널 수와 설치 적지에 따른 발전량, 예상비용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