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총량 관리

토지이용 변화로 인한
탄소배출량과 흡수량의 변화를
정량적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탄소 총량 시뮬레이션은 개발사업과 같은 토지이용 변화과정에서
배출량과 흡수량의 증감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과정에서 재생에너지 도입 등 효과를 함께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므로
경기도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총량관점의 탄소관리 정책을 지원합니다

탄소 총량 시뮬레이션

토지이용 변화과정에서 증감되는 탄소 흡수·저장·배출량을 정량적으로 분석
하여, 탄소흡수원의 보존과 탄소배출 감축 방안을 시뮬레이션 합니다.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개발사업 등과 같은 토지이용의 계획 단계에서
부터 탄소 총량을 고려하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연구와 현장조사, LiDAR와 같은 최신 기술을 통해 경기도 모든 지역의
탄소흡수량, 탄소저장량, 탄소배출량이 공간정보로 구축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도 위에서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탄소 수지를 검토하고, 재생에너지 도입과 같은
탄소배출 감축 시나리오를 정량적으로 분석 할 수 있습니다.

탄소 총량 시뮬레이션

탄소 총량 시뮬레이션

경기도 개발사업 탄소 총량 시뮬레이션은 개발사업으로 인한 토지이용 변화 전반에 따른 탄소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합니다.
건물의 탄소배출량 뿐만 아니라 신규 조성 및 훼손되는 탄소흡수원의 탄소흡수량과 저장량까지 함께 분석합니다. 사업 전후의 탄소흡수·저장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비교하고,
저감 시나리오를 적용해 탄소 총량 관리 방안을 제시합니다.
1단계
분석 대상지 설정
  • 필지 기반 대상지 설정
  • 사용자가 직접 설정
2단계
탄소 현황 분석
  • 비오톱 기반 탄소 흡수 및 저장량 분석
  • 건물 에너지 사용량 기반 탄소배출량 분석
3단계
탄소 증감 시뮬레이션
  • 탄소 흡수량 및 저장량 변화 설정
  • 탄소 배출량 변화 설정
  • Shape 파일 업로드 탄소 흡수원·저장원 ·배출원 일괄 등록
4단계
토지이용 변화 시뮬레이션 결과
  • 대상지 내 탄소 배출 변화량 설정 결과 확인
5단계
탄소 배출 저감 시뮬레이션
  • 태양광 ·풍력 ·지열 등의 감축사업명을 등록하여 탄소 배출 저감원 추가
6단계
분석 결과 보고서 출력
  • 토지이용 변화 탄소 총량 변화 현황
  • 토지이용 변화 전/후 현황 지도
  • 개발사업 전 탄소 총량 데이터
  • 개발사업 후 탄소 총량 데이터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평가 프로그램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평가 프로그램(ECO2)은 국토교통부와 한국에너지공단이 운영하는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를 위한 평가 도구입니다.
건축물의 냉·난방, 급탕, 조명 등 에너지 사용량을 기반으로 1차에너지 소요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며,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등급을 산정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