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린인프라에는 공원, 숲, 습지, 도시 녹지, 하천 등이 포함되며,
탄소 흡수를 통해 온실가스를 줄이는 완화 기능과 함께, 폭염, 홍수, 가뭄 등
폭염, 홍수, 가뭄 등 극단적인 기상 현상에 대한 도시 회복력을 높이는 적응 기능도 제공합니다.
기후위기 시대에는 자연의 기능을 활용하여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혜택을 제공하는
그린인프라를 전략적으로 계획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전략입니다.
경기도의 모든 도시공원에 대해 양적·질적 현황을 다각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공간정보로
구축하였습니다. 또한, 경기도 자연환경의 공급, 조절, 문화, 지지 측면에서의 생태계서비스를
평가하고, 그 가치를 화폐 단위로 분석함으로써 시민과 정책 결정자의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정보를 구축하였습니다.
이 정보는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 그린인프라 투자 우선순위 결정,
취약지역 발굴, 도시계획 수립에 있어 과학적인 근거를 제공합니다.
특히 시민들에게는 환경 가치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교육 도구가 됩니다.
약 59조
59025507
백만원404만 9천원
4049165
원15조 4,697억
15469732
백만원9조 3,661억
9366185
백만원34조 1,895억
34189589
백만원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새로운 기준
생태계서비스란 인간이 생태계로부터 얻는 다양한 혜택을 말합니다.
경기도의 풍부한 산림, 하천, 습지, 농경지 등은 단순한 경관을 넘어, 기후위기 시대에
우리를 보호하는 핵심 인프라로 작용합니다.
생태계서비스 평가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입니다.
산림과 습지는 대기 중 탄소를 흡수하고 저장하며, 도시숲과 공원은 무더운 여름 도시 열섬
현상을 완화해 줍니다. 또한 홍수나 가뭄 같은 재해를 줄여 주며, 보다 안전한 삶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자연은 아름다운 경관과 휴식 공간을 제공해 도시민에게 여가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신체적·정신적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 같은 혜택을 지속적으로
누리기 위해서는 건강한 생태계, 즉 생물다양성의 보전이 필요합니다.
경기도 생태계서비스 평가는 이러한 자연의 혜택을 공급, 조절, 문화, 지지 서비스로 구분해
평가하고, 그 가치를 화폐 단위로 산정하였습니다. 생태계서비스 가치 평가는 경제 발전과
환경 보전이 상충하지 않고 상생할 수 있도록 돕는 과학적 기준을 제시합니다. 특히 탄소 흡수,
대기 정화, 기후 조절 등 기후위기 대응 기능에 주목했습니다. 평가 결과는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수립하는 데 과학적 근거가 됩니다. 탄소중립을 위한 산림 보전과 확대, 도시 열섬
완화를 위한 그린인프라 투자,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자연기반 해법(Nature-based Solutions)
도입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조성완료 기준
4120
개조성완료 공원 기준
6.27
㎡2020-2024년 5년간 연평균
498
억원2020-2024년 5년간 연평균
1955
억원도보 5분 이내 공원 접근불가
49.6
%공원내 유동인구 기준(2024)
203901252
명
도시공원 평가
도시공원, 기후위기 시대의 핵심인프라
기후위기 시대, 도시공원은 단순한 녹지 공간을 넘어 기후변화의 영향을 완화하고 지역사회의 회복력을
강화하는 핵심 도시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도시공원은 폭염, 폭우, 대기오염 등 점차 심화되는
기후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다기능 공간으로, 환경적·사회적·경제적 측면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우선, 도시공원은 나무와 식생을 통해 도시 열섬 현상을 완화하며, 폭염에 취약한 인구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또한 탄소를 흡수하고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주민 건강을 보호하며, 홍수와 같은 재해
위험을 줄이고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더불어, 공원은 시민들의 심리적 안정과 공동체
유대감을 높이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기능하면서, 사회적 회복력과 삶의 질 향상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처럼 도시공원은 단순한 녹지 이상의 ‘그린 인프라’로서 기후적응과 탄소중립, 건강 증진, 사회통합 등
다층적인 과제를 해결하는 복합적 공간이며,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필수 자원입니다.
이러한 도시공원의 공공적 가치와 기후대응 능력을 가시화하기 위해 개발된 지표가 바로 ‘우리동네
공원스코어’입니다. 공원스코어는 시군 및 행정동 단위로 도시공원의 공급 현황을 다각적 지표를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체계로, 지방자치단체가 도시공원의 접근성과 질을 개선하고 예산을 보다
전략적으로 배분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도시공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제고하고,
지속가능한 도시환경 조성과 주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정책적 기반이 됩니다.
공원스코어는 다양한 지표들은 바탕으로 평가되어 시군 및 행정동 단위로 표준화·종합되어 점수로
산출되며, 공원스코어가 높을수록 해당 지역의 도시공원 서비스 수준과 기후위기 대응 역량이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